티스토리 뷰
2025년 4월부터 티빙 계정 공유 정책이 변경되면서 가족이나 지인과 자유롭게 나누어 쓰던 시청 방식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제는 가입자 본인 또는 ‘같은 집에 거주하는 가족’에게만 계정 공유가 허용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혼란을 겪고 계실 텐데요. 그렇다면 ‘동일가구 구성원’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이며, 기준은 어떻게 설정되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티빙 계정 공유 정책의 변경 내용과 그 배경, 동일가구 구성원의 범위, 실제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지 등을 자세하게 설명드릴게요.

티빙 계정 공유 정책, 무엇이 달라졌을까?
이번 정책 변경의 핵심은 바로 ‘동일가구’만 계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2025년 4월 2일부터 적용된 이 정책은 가입자 본인 외에도 함께 거주하는 가족에게만 계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 이는 사실상 티빙 계정 공유 정책의 큰 전환점이며, 넷플릭스와 유사한 흐름으로 볼 수 있어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준 기기 등록
티빙에서는 사용자의 TV를 기준 기기로 자동 등록합니다. 이 기기를 통해 시청하는 경우, ‘기준 기기’로 인식되어 동일 가구 판단의 기준이 됩니다.
2. IP 주소 기준
기준 기기와 동일한 IP로 접속한 경우에만 ‘동일 가구’로 인식되어 정상적인 시청이 가능합니다. 다른 지역에서 접속하면 ‘이용 제한’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일가구 구성원, 어디까지 인정될까?
여기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도대체 동일 가구의 기준이 뭐냐’는 건데요. 티빙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동일가구 구성원이란?
실제로 함께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을 의미하며, 이들이 사용하는 기기(IP 포함)에 한해서만 계정 사용이 허용됩니다. 즉, 자녀가 타지에서 혼자 자취 중이라면, 그 기기는 동일가구가 아닌 것으로 간주되며 계정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임시 시청' 버튼을 통해 일시적으로 시청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인증을 요구하거나,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사용자 반응은?
티빙 계정 공유 정책에 대한 내용이 알려지면서 사용자 반응은 대체로 좋지는 않은 편입니다. 정당한 요금제 내에서 가족들끼리 동시접속해서 이용을 하는데 이게 또 같은 공간 아니면 안되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분들도 분명히 있는데요.
이 부분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또 해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결론
티빙 계정 공유 정책의 변화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도 있겠지만, 플랫폼 입장에서는 지속 가능한 수익구조를 위한 변화이기도 하죠. 현재 계정을 공유 중이라면, TV 기준 기기 등록과 IP 기반 설정을 꼭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가능한 한 ‘정상적인 동일 가구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려요.
추후 정책이 변경될 수도 있으니, 공식 공지사항도 주기적으로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24 본인 인증 실패 시 해결 방법 (민간 인증서, 휴대폰 인증 포함) (1) | 2025.03.26 |
---|---|
강동 롯데시네마 상영시간표, 2관·3관·5관·10관 예매 정보 및 주차 안내 (1) | 2025.03.25 |
사람인 자기소개서 작성법 & 자유양식 예시 총정리 (0) | 2025.03.21 |
CU 재고 조회 방법, 이제 포켓cu 어플에서만 가능! (0) | 2025.01.11 |
가로 세로 구분, 이렇게 하면 2분만에 쉽게 알 수 있어요 (0) | 2025.01.03 |